구글 시트는 다양한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는 데 매우 유용한 도구입니다. 그 중에서도 COUNTIF 함수는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셀의 개수를 세는 데 많이 사용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COUNTIF 함수의 활용법과 함께, 이 함수가 어떻게 데이터 분석에 도움이 되는지를 살펴보겠습니다.

COUNTIF 함수란?
COUNTIF 함수는 특정 범위에서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셀의 수를 세도록 설계된 함수입니다. 이 함수는 데이터의 빈도를 파악하거나 필터링 작업을 수행할 때 매우 유용합니다. 기본적인 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COUNTIF(범위, 조건)
여기서 ‘범위’는 조건을 체크할 셀의 집합을 나타내며, ‘조건’은 세고자 하는 특정 기준을 의미합니다. 이 조건은 문자, 숫자, 날짜 또는 그 외의 다양한 형식으로 입력할 수 있습니다.
COUNTIF 함수의 사용법
COUNTIF 함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어떤 데이터 범위를 분석할 것인지 결정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A1에서 A10까지의 셀에서 특정 단어의 개수를 세어보고 싶다면 다음과 같은 수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COUNTIF(A1:A10, "apple")
이렇게 입력하면, A1:A10 범위에서 “apple”이라는 단어가 몇 번 등장하는지를 알려줍니다.
조건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
COUNTIF 함수의 조건 부분은 매우 유연합니다. 아래와 같은 조건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수치 비교:
">100"
와 같이 입력하여, 100보다 큰 값의 개수를 셀 수 있습니다. - 문자 패턴: 와일드카드 문자인
*
나?
를 사용하여, 특정 패턴의 문자열도 검색할 수 있습니다. - 특정 날짜:
"2023-10-07"
와 같은 날짜 형식으로도 조건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COUNTIFS 함수의 활용
COUNTIF 함수는 하나의 조건만을 다룰 수 있지만, 여러 조건을 함께 사용해야 할 때는 COUNTIFS 함수를 사용하면 됩니다.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COUNTIFS(기준_범위1, 조건1, [기준_범위2, 조건2, ...])
예를 들어, 특정 제품이 2023년 2월에 판매된 횟수를 알고 싶다면 아래와 같은 수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COUNTIFS(A1:A10, "휴대폰", C1:C10, "2023-02")
이 수식은 A열에서 “휴대폰”이라는 조건과 C열에서 “2023-02″라는 두 가지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는 셀의 개수를 반환합니다.
구글 시트에서 COUNTIF의 실제 활용 예시
구글 시트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할 때 COUNTIF 및 COUNTIFS 함수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몇 가지 예를 살펴보겠습니다.
1. 특정 제품 판매량 세기
가령, A열에 상품명이 리스트되어 있을 때, “노트북”이라는 상품이 몇 개 팔렸는지 확인하고 싶다면:
=COUNTIF(A2:A20, "노트북")
이 수식을 사용하면 A2에서 A20 범위 안에 있는 “노트북”의 개수를 쉽게 셀 수 있습니다.
2. 특정 달의 판매량 세기
상품명과 함께 판매 날짜가 기록된 데이터에서 특정 날짜의 판매량을 알아보려면, 다음과 같이 COUNTIFS 함수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COUNTIFS(A2:A20, "노트북", B2:B20, "2023-11")
이 경우, “노트북”이면서 2023년 11월에 판매된 상품의 수를 반환하게 됩니다.

마무리
COUNTIF와 COUNTIFS 함수는 구글 시트에서 데이터를 분석하는 데 큰 도움이 되는 도구입니다. 이 함수들을 적절히 활용하면 데이터의 특정 조건을 충족하는 항목의 개수를 쉽게 세어볼 수 있습니다. 데이터 분석 작업에서 이러한 함수의 기능을 제대로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데이터를 분석할 때 COUNTIF 및 COUNTIFS 함수의 활용법을 익히면, 구글 시트를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다음번 포스팅에서도 다양한 구글 시트 기능을 다룰 예정이니 기대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주 찾으시는 질문 FAQ
COUNTIF 함수는 무엇인가요?
COUNTIF 함수는 지정된 범위 내에서 특정 기준을 만족하는 셀의 개수를 계산하는 함수입니다.
COUNTIF 함수의 기본 구문은 어떻게 되나요?
이 함수의 기본 형식은 =COUNTIF(범위, 조건)
이며, 여기서 범위는 분석할 셀의 집합이고 조건은 셀 개수를 셀 기준입니다.
COUNTIF 함수를 사용한 예시는 어떤 것이 있나요?
예를 들어, A1부터 A10까지의 셀에서 “사과”라는 단어의 개수를 세려면 =COUNTIF(A1:A10, "사과")
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COUNTIFS 함수는 어떻게 사용하나요?
COUNTIFS 함수는 여러 조건을 동시에 지정하고 분석할 수 있는 함수로, 구문은 =COUNTIFS(기준_범위1, 조건1, ...)
입니다.
구글 시트에서 COUNTIF 함수로 어떤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나요?
구글 시트를 사용하여 판매량, 특정 날짜의 이벤트 등을 COUNTIF 함수를 통해 쉽게 분석할 수 있습니다.
0개의 댓글